🎉 25년 마지막 기수, 31기 사전알림 신청하기
콘텐츠 인사이트 · · 15 min read

인스타에서 바이럴 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법칙 4가지

평범한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가 어떻게 150만·46만 뷰를 만들었을까? 5명의 사례로 정리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바이럴 공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인스타에서 바이럴 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법칙 4가지

스토리텔링 콘텐츠,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인스타그램에서 콘텐츠를 스크롤하다 보면 가끔 이상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팔로워가 많지도 않은 계정인데, 어떤 사람의 이야기는 멈추게 하죠. 심지어 처음 보는 사람인데도 이야기를 끝까지 듣고, 저장하고, 팔로우하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잘 터지는 스토리텔링 콘텐츠엔 이야기 구조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구조는 어떤 이야기를 하더라도 사람을 움직이게 만드는 힘을 갖고 있어요.

세계적인 스토리 컨설턴트 리사 크론은 『스토리만이 살길』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이야기만이 다른 이들의 관심을 사로잡고
설득과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멤버들의 사례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바이럴되는 원리를 정리했습니다.

💡
이번 사례는 조회수 숫자 자체보다는 팔로워 대비 반응률이 높거나, 정체성이 선명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바이럴 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특징

1/ 스펙 뒤에 숨은 내적 투쟁이 이야기가 된다

대기업 출신, 카이스트 박사

이 타이틀을 보는 순간, 우리는 본능적으로 '성공한 사람'을 떠올립니다. 화려한 스펙, 탄탄한 커리어.

그런데 리나몬드님은 그 기대를 정면으로 뒤집어요.

리나몬드님의 콘텐츠가 150만 뷰를 기록한 이유는 화려한 스펙을 나열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스펙 뒤에 숨겨진 내적 투쟁을 보여줬기 때문이죠.

스토리텔링 구조:

리나몬드님의 콘텐츠는 외적 성취(스펙)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겪은 내적 변화를 중심에 놓았습니다.

리나몬드님의 콘텐츠에 달린 응원 댓글

그래서 사람들은 멈춰 섰고, 자신의 이야기처럼 받아들이거나 공감하거나 응원할 수밖에 없었죠.


2/ 구체적인 이미지가 감정을 움직인다

김도님(@kimdohyungg)

- 1.1만 View 콘텐츠

<연대 자퇴하고 출판사 차린 썰푼다>
"책을 많이 읽으세요."

이런 조언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봤을 겁니다. 그런데 김도님의 콘텐츠는 다릅니다.

김도님의 릴스

기존의 책 추천 콘텐츠와 달리 김도님의 콘텐츠는 추상적인 조언이 아닌, 구체적인 이미지로 가득합니다.

이야기 구조:

이처럼 구체적 이미지는 아무리 평범한 것이라 해도 사람을 놀라게 하고 기억에 길이 남을 수 있어요.

단순 책 추천이 아니라 "내가 위기를 버틴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줬기에, 단순한 정보성 콘텐츠를 넘어 깊은 울림을 줬습니다.


3/ ‘나도 해보고 싶다’는 마음을 만드는 구조가 몰입을 만든다

모모님(@momo.snaillife)

- 46만 View 콘텐츠

<8년 동안 한 달 살기 40회+>

8년 동안 40번

이 숫자만 나열했다면 그저 “자기 경험 자랑”에 가까웠을 겁니다.

하지만 모모님은 이 방대한 경험을 듣는 사람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패턴으로 재구조화했어요.

『스토리만이 살길』에서 말하듯,

“남을 설득하려면, 듣는 사람의 이야기와 통하는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한다.”

모모님은 자신의 감정이나 에피소드를 중심에 놓지 않았습니다.

대신 듣는 사람이 앞으로 겪을 장면을 먼저 상상하게 만드는 구조를 제시했죠.

그래서 사람들은 이 콘텐츠를 보며 두 가지를 동시에 느낍니다.

44만 뷰 콘텐츠에 남겨진 댓글
  1. “나도 언젠가 해보고 싶다.” (꿈)
  2. “나도 하면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 (실용성)

단순히 “한 달 살기 좋아요!”라고 말하지 않아도, 콘텐츠가 이미 듣는 사람의 미래 경험을 설계해주는 형태로 구조화돼 있기 때문이에요.

바로 이 지점이 46만 뷰를 만든 진짜 힘인거죠.


4/ 새로운 도전이 공감을 일으킨다 (1)

보카집중님(@voca_zip_zhong)

- 8.7만 View 콘텐츠

<내 나이 서른, 법대생이 되기로 했다>

“내 나이 서른.”

이 한 문장만으로 많은 사람의 마음이 흔들립니다.

보카집중님의 법대생 도전 릴스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멈춰서게 됩니다. 대체 왜? 라는 의문을 갖게 되죠.

보카집중님의 콘텐츠에는 완벽함이 없습니다.

대신, 이런 것들이 있어요.

보카집중님의 콘텐츠가 8.7만 뷰를 기록한 이유는 “늦은 때란 없다”는 흔한 메시지를 전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정반대예요.

스스로에게도 부담스러운 질문, 남들도 분명히 던질 질문을 먼저 꺼내놓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쉽지 않을 거다”라는 진실한 부분까지 숨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콘텐츠에는 완벽한 계획도, 확신도 없습니다.

이 두 가지가 함께 있습니다.

보카집중님 콘텐츠에 남겨진 응원 댓글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보며 용기를 얻고, 응원하게 되죠.

4/ 새로운 도전이 공감을 일으킨다 (2)

시은님(@aestheticofbeing)

- 7.1만 View 콘텐츠

<23살 홍대미대생...>
시은님의 자기소개 릴스

23살, 홍대미대생, 학교를 뛰쳐나왔다

이 세 단어만으로도 강렬한데, 시은님의 이야기에는 더 깊은 반전이 있습니다.

그런데 행복하지 않았습니다.

『스토리만이 살길』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잘못된 믿음이란 우리가 삶의 초기에 배워서 지금까지 세상을 이해하는 데 쓰는 것으로서, 특정 상황에서 딱 한 번 옳았는데 일반적 진리로 받아들였거나, 아니면 한 번도 옳았던 적이 없는 믿음을 가리킨다."

시은님이 마주한 잘못된 믿음들은 다음과 같았죠.

그런데 "내 진짜 꿈은 뭐였지"라고 물었을 때, 답은 달랐습니다.

저는 세상 사람들에게 제 브랜드를 통해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어주고 싶었어요.

이야기 구조

시은님 콘텐츠에 달린 응원 댓글들

시은님의 콘텐츠가 7만 뷰를 기록하고 많은 응원을 받은 이유는, 단순히 “학교를 뛰쳐나와서”가 아닙니다.

그보다,

이 세 가지가 이야기에 힘을 실어주었기 때문이에요.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질문을 품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쉽게 답을 내리지 못하고, 더 쉽게 움직이지 못하죠.

시은님의 이야기는 정답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대신 이렇게 말합니다.

“나도 같은 질문을 했고, 내 답을 찾기 위해 움직였다.”

바로 이 과정이 많은 사람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는 진짜 스토리의 힘입니다.


나만의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만드는 법

다섯 멤버의 콘텐츠를 분석하며 발견한 건,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라 진짜 이야기가 사람을 움직인다는 사실입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완벽한 성공담을 만들려 하지 않았다는 것과 현재 진행형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게 매우 중요하죠.

스토리텔링 콘텐츠는 특별한 사람만 만들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게 바로 누군가를 멈추게 만드는 콘텐츠이자 응원하게 만드는 콘텐츠가 됩니다.

오늘 내 이야기를 콘텐츠로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더 많은 콘텐츠 성공 사례가 궁금하다면?

광고 없이, 콘텐츠만으로 계정/브랜드를 키운 진짜 사례들이 궁금하다면 지금 하이아웃풋클럽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작은 실행으로 시작된 브랜드들의 성장을 직접 확인하고,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북을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성장하는 사람들의 더 많은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 레터 구독하고 템플릿 받기

Read next

뉴스레터 구독하기